파워그리드 확장 지도 각 특징 간략 정리 글입니다. 추천0 조회수1204 |
||
---|---|---|
코리아보드게임즈에서 확장 5종 모음 낸다고 설문조사 한다고 하네요. 각 지도마다 특징이 있는데, 모르면 무엇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다고 느끼실 것 같아 설문조사에 앞서 도움 되고자 간략 정리글을 올립니다. 우선 개인적으로 저는 이렇게 희망합니다. 1. 북유럽+영국(북유럽 지도 확장에는 추가발전소 카드도 있습니다.) 2. 중국+한국 3. 퀘벡+바덴&뷔르템베르크 4. 브라질+스페인&포르투갈 5. 중유럽+베네룩스 개별적으로 꼽자면 북유럽, 중국, 바덴&뷔르템베르크, 스페인&포르투갈, 중동 지도를 희망합니다. 편의상 개조식과 명사형 문체로 쓴 점 양해 바랍니다. 표기와 용어 의미: - [00]은 '00번 발전소'를 의미합니다. - 어느 플레이어의 점수란 그 플레이어가 도시에 놓은 마커 수를 의미합니다. ─ ◆ 프랑스 지도 - 우라늄 저렴. - 도시 '파리'는 일반 도시 3개가 모인 것과 같음. - [13] 안 씀. [11]로 대체. ◆ 이탈리아 지도 - 쓰레기 저렴. ─ ◆ 중유럽 지도 - 비핵화 지역 존재: 비핵화 지역이 아닌 지역에 건설을 해둔 플레이어(들)만 우라늄 발전소 경매에 참여 가능. - 도시 '빈'에 건설을 해둔 플레이어(들)는 쓰레기 구입 시 각각 1€씩 할인받음(가격이 0 이하가 되진 않음). ◆ 베네룩스 지도 - 발전소 시장 빨리 교체됨. - 연결로(길) 비용 아주 낮음. ─ ◆ 한국 지도 - 연료 시장이 남/북 분리. 한 라운드에 한 쪽 시장에서만 연료 구입 가능. ◆ 중국 지도 ◇ 계획 경제: - 발전소 더미 안 섞음. 오름차순으로 나옴. - 발전소 시장의 자릿 수=인원수-1. 모두 현재 시장. - 1-2기에는 낙찰 말고는 발전소 시장에서 발전소 안 치워짐.(아무도 입찰 안 한 경우에도, 최저점 이하 번호 발전소, 라운드 종료 시 최고번호 발전소도 안 치움) - 3기에는 낙찰, 라운드 종료 시 최고 번호 발전소 말고는 발전소 시장에서 발전소 안 치워짐. ─ ◆ 브라질 지도 - '셋업 시 인원수에 따른 발전소 제거'를 할 때, 쓰레기 발전소(브라질에서는 바이오가스 발전소라고 함)는 제거되지 않음. ◆ 스페인&포르투갈 지도 - 우라늄 저렴. - 비핵화 지역(포르투갈) 존재. - 풍력[18][22][27] 따로 뒀다가 2기 시작 때 더미 맨 위에 둠. ─ ◆ 러시아 지도 - 발전소 시장이 8자리가 아니라 6자리로 시작해 3기에는 4자리만 씀. - 1번 플레이어만 입찰 포기해도 시장 최저 번호 발전소 제거(다른 지도에서는 전원이 입찰 포기해야 최저 번호 발전소 제거) ◆ 일본 지도 - 플레이어마다 전력망을 1개가 아니라 2개씩 운용. - 대도시(두 번째 마커 칸도 15€가 아니라 10€)와 소도시(마커칸이 3개가 아니라 2개뿐) 존재. - 대도시들만 시작 도시가 될 수 있음. ─ ◆ 북유럽 지도 - 비핵화 지역 존재. - 새로운 대체 발전소 카드 존재(사용 지역에 따라 채용). ◆ 영국(&아일랜드) 지도 - 고가로 2번째 전력망 가능(두 섬으로 분리되어 있음). ─ ◆ 퀘벡 지도 - 친환경 발전소는 낙찰 또는 최저점 이하 번호 발전소만 치워짐(아무도 입찰 안 한 경우나 라운드 종료 때 최고번호 발전소로 치워지지는 않음). - 셋업 때 친환경[13][18][22]를 더미 맨 위에 둠. ◆ 바덴&뷔르템베르크 지도 - 순번 조정을, 발전소 경매 직전이 아니라 직후에 함. - 2기 조건 1점 더 빠름(¶ 3-5인 게임 시 7점이 아니라 6점이 2기 트리거). - 아무도 입찰 안 한 경우 최저 번호 발전소 1개가 아니라 2개를 치움. ─ ◆ 호주 지도 - 우라늄 발전소를 발전소로는 취급하지 않고 광산으로 취급. 우라늄은 채굴해서 수출함. - 3기 시작 시 과세: 모든 종류 연료에 대해, 연료 시장에서 가장 싼 구간에 남아 있던 6개씩을 가장 비싼 구간으로 옮김. ◆ 인도 지도 - 정전: 건설 단계 때 인원수*2를 넘게 건설이 이뤄지면 그 라운드 수입이 자신의 점수*3만큼 감소. - 연료 모두 시작 가격 저렴. - 협소한 시장: 1기에는 가격 3 이하 연료 중에서만 구입 가능. 플레이어마다 연료 1개씩만 구입 가능. 2기에는 가격 5 이하 연료 중에서만 구입 가능. - 쓰레기 비효율: 쓰레기 연료는 발전소 가동에 쓸 때 1개씩 더 필요함. - 연료 아끼기 금지: 연료가 남아있고 아직 전력 공급량이 점수에 미달한 경우, 발전소를 반복 가동해서라도 전력을 공급해야 함. ─ ◆ 중동 지도 ◇ 피크 오일: - 1기에는 연료 시장 재입고 때 석유 토큰이 부족한 경우 연료 시장 가장 비싼 구간에 놓인 석유 토큰을 가져와 연료 시장 석유 1 칸에 놓아서 재입고량을 반드시 맞춤. - 1기에는 현재시장에 쓰레기/원자력 발전소가 들어오면 즉시 제거. - 2기에는 라운드 종료 때 발전소 시장의 최고 번호 발전소가 1개 치워지는 것이 아니라 2개 치워짐. ◇ 기 전환 규칙 변경: - '3기' 카드를 처음 뽑는 것이 2기 트리거가 됨(점수 무관, 뽑은 다음 단계부터 2기). - 2기가 시작될 때 발전소 더미를 섞고 맨 밑에 '3기' 카드를 넣음. - '3기' 카드를 두 번째로 뽑는 것이 3기 트리거가 됨(뽑은 다음 단계부터 3기). ◆ 남아프리카 - 도시 비슷하게, 마커를 놓을 수 있는 '이웃국가 칸' 존재. - 재충전 미국 지도 비슷하게, 저탄소 존재(공급처에서 석탄을 8€에 구입 가능). 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. |